안타깝게도 윈도우 7에서는 더 이상 게임포트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건지
더 이상 게임포트가 잡히지 않는다.
오래된 게임패드를 버리자니 그렇고 (내 경우 드럼인지라 어찌 할 수 도 없다)
계속 알수없는 장치라고 뜨는 것이 현실.
해결 방법을 찾다가 결국 찾았다.
ctgame2k.inf 드라이버 파일!
다운로드
사용방법은
1. 제어판 -> 장치관리자
2. 알 수 없는 장치
3. 드라이버 탭을 연다.
4. 드라이버 업데이트
5. 내 컴퓨터에서 직접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찾아보기
6. 장치드라이버 목록에서 직접 선택을 누르고
7. 모든 장치 선택 후 다음
8. 디스크 있음을 눌러서 첨부파일을 풀어논 곳의 Gameport폴더안의 ctgame2k.inf파일 선택
9. 게임포트가 설치되었음을 확인.
잘 사용하세요
'이것저것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eat Engine 6.6 - 치트엔진 최신버전 다운로드 (25) | 2014.10.16 |
---|---|
매크로 프로그램 Key Macro (0) | 2013.04.29 |
윈도우7에서 creative 게임포트를 이용하기/ Using Creative gameport in Window 7 (11) | 2012.04.22 |
넷드라이브 / NetDrive 1.3.2.0 NAS를 외장 하드처럼 쓰자! (0) | 2011.12.11 |
Applanet Server Status Check apk 어플래닛 서버 체크 (0) | 2011.12.04 |
Applanet 2.9.0.1 업데이트 apk 다운 (0) | 2011.11.18 |
-
-
네오솔로 2012.10.11 23:42
안녕하세요. 저도 같은 문제로 고생하고있는데요;; 아마도 같은 드럼컨트롤러인 것 같아 조금 더 자세한 해결방법 문의드립니다.
현재 윈7 x64 사용중이며, 사블라이브밸류 + 올려주신 드라이버로 creative game port 까지는 설치했습니다.
이후 뭔가 설정이 필요하지 않나요? 게임컨트롤러로 인식을 시킨다던가 하는... DTX Mania 에 입력이 들어가질않아서 고생중입니다 ㅠㅠㅠ 혹시 해결하셨다면 방법을 간곡히 요청드립니다 -
ddd 2014.04.02 12:56
오래된감이 있지만 늦게나마 댓글 드립니다.
윈7 얼티밋K 64비트버전에 사블 오디지 LS 버전 사용중입니다.
문제는 해당 드라이버까진 아무 문제없이 설치했는데.
Inco님 글대로 네오드럼 연결하고 재부팅해도 전혀 미동이 없더군요 ㅜㅡ
개인적으로 드럼게임을 많이 좋아하는지라 이거참 난감하기 짝 없더군요
하는수 없이 15핀 미디포트를 잠시 내려놓고,
USB 미디케이블로 연결해도 모듈이 전압을 10V를 먹는지라 5V인 USB미디장치로는
턱 없이 부족해서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
-
여번 2019.06.19 06:53
zs모델에 2열15핀 게임?포트가 달려있는 모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해외포럼의 영문글들을 확인해보니 32비트 운영체제에서만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64비트의 경우 32비트용 수정된 드라이버 파일을 이용하여 게임 포트드라이버 설치까지는 대부분 수월하겠으나, 게임포트에 연결된 장치가 다른 장치가 아닌, 게임 컨트롤러류의 "알 수 없는 장치" 로 반드시 인식이 되어야만 하며, 인식이 되었다 하더래도, 관련 드라이버 파일이 없으면 제어판의 게임포트 관리자가 생성이 되질 않으므로 즉 소용 없다고 나와 있습니다. (게임포트는 설치되었지만 사용할 수 없는 상태) 위에 질문자님은 64비트 운영체제라고 하셨는데, 글쓴이 님께서는 아마 32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하셨던것으로 짐작됩니다. 네오솔로? 드럼은 오래전에 가지고 논 기억은 있지만, 파트들은 다 없어지고 브레인 [모듈] 이 남아 있어서 32비트 xp에서 확인해보니 usb 컨버터로 변환하여 연결하면 조이스틱 장치로 인식이 되지만, 게임포트 케이블로 연결을 해보니, 조이스틱이 아닌, 일반 음향장치로 인식이 되는것을 보아, 64비트 운영체제에서는 게임포트를 이용하여 네오드럼이란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게 결론입니다. 게시글을 포함 댓글의 내용들이 다소 부족한 부분들이 보인 관계로 몇자 끄적이고 갑니다.